STUDY/JavaScript (12) 썸네일형 리스트형 [ JavaScript ] 매개변수와 인자 매개변수와 인자 개념 function 함수이름(매개변수1, 매개변수2, ...) { 실행문; } 함수이름(인자1, 인자2, ...); 매개변수 함수 선언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변수를 '매개변수'라고 부릅니다. 이름에서 드러나듯이 나중에 함수를 호출할 때 매개 역할을 하는 변수입니다. 인자 함수를 호출할 때 사용하는 것을 '인자'라고 합니다. 즉, '전달인자'를 뜻합니다. 디폴트 매개변수(Default Parameter) 디폴트 매개변수 함수를 선언할 때, 매개변수의 값을 기본적으로 정해놓는 것을 말합니다. 기본 값을 정해두지만 함수 호출시 값을 전달한다면 그 값으로 대치됩니다. function multiply(a, b = 2) { return a * b; } var result = multiply.. [ JavaScript ] forEach() Array.prototype.forEach() Array(배열) 객체의 메서드인 forEach() forEach는 for문과 마찬가지로 반복적인 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합니다. 하지만 for문처럼 index와 조건식, increase를 정의하지 않아도 callback 함수를 통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 forEach() 메서드는 주어진 함수를 배열 요소 각각에 대해 실행합니다. const array1 = ['a', 'b', 'c']; array1.forEach(element => console.log(element)); // expected output: "a" // expected output: "b" // expected output: "c" 참고 https://yuddomack.tistory.c.. [ Javascript ] 화살표 함수(Arrow function) 화살표 함수는 ES6문법입니다. function 키워드 사용해서 함수를 만든 것보다 간단히 함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. 화살표 함수는 항상 익명입니다. // 일반 함수 var foo = function () { console.log("foo") }; // foo // 화살표 함수 var bar = () => console.log("bar"); // bar 1. 화살표 함수의 기본문법 // 매개변수가 없는 경우 var foo = () => console.log('bar'); foo(); // bar // 매개변수가 하나인 경우 var foo = x => x; foo('bar'); // bar // 매개변수가 여려개인 경우 var foo = (a, b) => a + b; // 간단하게 한줄로 표현할 땐 "{.. [ JavaScript ] nullish 병합 연산자 '??' nullish 병합 연산자 '??' · nullish 병합 연산자 ??를 사용하면 짧은 문법으로 여러 피연산자 중 그 값이 '확정되어있는' 변수를 찾을 수 있다. a ?? b 의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. · a가 null도 아니고 undefined도 아니면 a · 그 외의 경우는 b nullish 병합 연산자 ??없이 x = a ?? b와 동일한 동작을 하는 코드를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. x = ( a !== null && a !== undefined ) ? a : b; 비교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만으로 nullish 병합 연산자와 같은 기능을 하는 코드를 작성하면 코드가 길어진다. 또 다른 예시를 살펴보자. firstName, lastName, nickName 이란 변수에 사용자 이름이나 별명을 저장하.. [ JavaScript ]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 · 자바스크립트엔 세 종류의 논리 연산자 | | (OR), && (AND), ! (NOT)이 있다. · 연산자에 '논리'라는 수식어가 붙긴 하지만 논리 연산자는 피연산자로 불린형뿐만 아니라 모든 타입의 값을 받을 수 있다. 연산 결과 역시 모든 타입이 될 수 있다. 1. || (OR) 'OR' 연산자는 두 개의 수직선 기호로 만들 수 있다. result = a || b; 전통적인 프로그래밍에서 OR 연산자는 불린값을 조작하는 데 쓰인다. 인수 중 하나라도 true이면 true를 반환하고,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한다. 자바스크립트의 OR 연산자는 다루긴 까다롭지만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. OR을 어떻게 응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전, OR 연산자가 불린값을 어떻게 다루는지 알아보자 O.. [ JavaScript ] if와 ' ? ' 를 사용한 조건 처리 if와 '?'를 사용한 조건 처리 · 조건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와야 할 때 if문과 조건부 연산자 '?' 사용 1. if문 if(···)문은 괄호 안에 들어가는 조건을 평가하는데, 그 결과가 treu(참)이면 코드 블록이 실행된다. let year = prompt('이글은 무슨 년도에 발행되었을까요?'); if ( year == 2022 ) alert('정답입니다!'); 위 예시에선 조건(year == 2022)이 간단한 경우만 다뤘지만 조건문은 더 복잡할 수도 있다. 조건이 true일 때 복수의 문을 실행하고 싶다면 중괄호로 코드 블록을 감싸야한다. if (year == 2022) { alert('정답입니다!'); alert('아주 똑똑하시네요!'); } if문을 쓸 때는 조건이 참일 경우 실행되는 .. [ JavaScript ] 비교연산자 비교연산자 · 보다 큼/작음 : a > b, a = b, a 1 ); // true alert( 2 == 1 ); // false alert( 2 != 1 ); // true 반환된 불린값은 다른 여타 값처럼 변수에 할당 할 수 있다. let result = 5 > 4; // 비교 결과를 변수에 할당 alert( result ); // true 2. 문자열 비교 · 자바스크립트는 '사전'순으로 문자열을 비교한다. '사전편집'순 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이 기준을 적용하면 사전 뒤쪽의 문자열은 사전 앞쪽의 문자열보다 크다고 판단된다. · 실제 단어를 사전에 실을 때 단어를 구성하는 문자 하나하나를 비교하여 등재 순서를 정하는 것과 같이 자바스크립트도 문자열을 구성하.. [ JavaScript ] 기본 연산자와 수학 기본 연산자와 수학 · 덧셈(+), 곱셈(*),뺄셈(-) · '단항', '이항', '피연산자' · 피연산자(operand)는 연산자가 연산을 수행하는 대상이다. 5*2에는 왼쪽 피연산자 5와 오른쪽 피연산자2, 총 두개의 피연산자가 있다. · 피연산자를 하나만 받는 연산자는 단항(unary) 연산자라고 부른다. 피연산자는 부호를 뒤집는 단항 마이너스 ㅕㄴ산자 - 는 단항 연산자의 대표적인 예시이다. let x = 1; x = -x; alert( x ); // -1, 단항 마이너스 연산자는 부호를 뒤집는다. · 두 개의 피연산자를 받는 연산자는 이항(binary) 연산자라고 부른다. 마이너스 연산자는 아래와 같이 이항 연산자로 쓸 수도 있다. let x = 1, y = 3; alert( y - x ); /.. 이전 1 2 다음